그런데 'Gehpi'를 이용하면 조금은 쉬워지는 듯. 다음은 웹 문서 확장자별 응답코드 발생 현황 조회 화면.
페이지
▼
2017년 3월 30일 목요일
Gephi를 이용한 Web Log 분석
간만에 웹로그 분석. 작년에 이상징후 분석 관점의 웹로그 발생 현황 파악 과정을 살펴봤었다. 그게 벌써 1년 전 그때 강조했던 게 먼저 '숲을 그린 후, 나무를 파악하자'였는데, 큰 그림을 그린다는 게 사실 쉬운 일은 아니다.
그런데 'Gehpi'를 이용하면 조금은 쉬워지는 듯. 다음은 웹 문서 확장자별 응답코드 발생 현황 조회 화면.
그런데 'Gehpi'를 이용하면 조금은 쉬워지는 듯. 다음은 웹 문서 확장자별 응답코드 발생 현황 조회 화면.
2017년 3월 13일 월요일
2017년 3월 8일 수요일
2017년 3월 6일 월요일
간만에 Snort 분석(DNS Request - 3rd)
하루 동안 DNS 조회가 시도된 도메인의 검사 범위를 1,300여 개에서 448개로 좁혔다. 이제 448개의 추세선만 분석하면 된다.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1,300개 보다야(..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