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회에 걸쳐서 윈도우 로그온 성공 및 실패 이벤트 이상징후 분석 과정을 살펴봤다. 그리고 그 과정에서 로그, 즉 데이터의 구조 및 속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SQL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분석에 적절한 형태로 가공만 할 수 있다면 분석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.
문제는 여태 분석에 사용했던 로그는 달랑 PC 한 대에서 발생한 로그라는 것. 우리 조직의 PC가 100대면 같은 작업을 백 번 해야 한다는 뜻이다. 물론 불가능하진 않다. 처음에 얘기했다시피 한 대로 시작해서 익숙해지면 10대, 100대로 늘려가면 된다.